메뉴 건너뛰기

하나님의 구속 경륜

AA

2. 노아 언약(무지개 언약)

The Noahic Covenant(The Covenant of the Bow

 

하나님은 노아에게 방주를 지으라고 명령하신 후(6:14), 노아와 언약을 세우겠다고 하셨습니다. 이때 언약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합니다.

창세기 6:18 “그러나 너와는 내가 내 언약을 세우리니 너는 네 아들들과 네 아내와 네 며느리들과 함께 그 방주로 들어가고

하나님이 노아와 언약을 세우신 것은 세상의 심판 속에서도 여자의 후손이 오시는 길을 보존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홍수가 온 세상을 뒤덮었을 때, 땅 위에 움직이는 생물이 모두 죽었습니다. 새와 육축과 들짐승, 땅에 기는 모든 것과 모든 사람, 코로 기식하는 지면의 모든 생물이 완전히 멸망하는 중에 오직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던 자들만 남았더라”(7:23)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홍수 후에 하나님은 무지개로 언약을 맺으셨습니다. 이는 구름 속에 있는 무지개를 증표 삼아 다시는 인류를 홍수로 심판하지 않고 구속사의 완성 때까지 보존하실 것을 약속하신 것입니다(9:8-17).

홍수 이전의 언약은 노아 한 사람과 세우신 언약이었으나(6:18), 홍수 후에 체결된 무지개 언약은 노아와 그 후손과 그들과 함께한 모든 생물과 세우신 우주적인 언약이었습니다(9:10-12, 15-17). 그러므로 인간의 구원이 완성되는 날 우주 만물까지도 모두 회복될 것입니다(3:21, 8:18-23).

 

3. 아브라함의 언약

The Abrahamic Covenant

 

하나님은 아담에게 주셨던 약속을 실현하기 위해 아브라함을 주권적인 은혜로 선택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를 통하여 세상 만민에게 복 주시려는 계획을 세우시고 언약을 체결하셨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아브라함 언약은 인류 역사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될 구원 계획의 설계도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브라함 언약은 모든 언약의 골격에 해당합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일곱 번에 걸쳐 언약을 체결하셨습니다.

첫째, 창세기 12:1-3에서 아브라함을 부르사 첫 약속을 하셨습니다.

둘째, 창세기 12:7에서 제 1차로 가나안 땅을 약속하셨습니다.

셋째, 창세기 13:15-18에서 다시 가나안 땅을 약속하시고 자손에 대한 약속을 하셨습니다.

넷째, 창세기 15:12-21에서 횃불 언약을 통해 자손과 가나안 땅에 대한 약속을 재 확증하셨습니다.

다섯째, 창세기 18:10에서 이삭 탄생에 대한 약속을 다시 하셨습니다.

일곱째, 창세기 22:15-18에서 이삭을 제물로 드린 후, 지금까지의 언약들에 대한 최종 확증을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맺으신 언약은 이삭(26:3, 24)과 야곱(28:13-15, 35:12)에게 반복적으로 확증되었으며, 아브라함의 후손만 아니라 천하 만민에게까지 효력을 미치는 우주적 언약이었습니다(105:8-11, 3:7-9, 29).

 

4. 시내산 언약

The Sinaitic Covenant

 

이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한 후 시내 광야에서 약 1년 정도 머물렀을 때,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주시며 맺으신 언약입니다. 십계명은 모든 율법의 핵심이자 본질로서, 단순한 율법이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입니다(19:5, 24:7). 즉 십계명은 계명이요 율법이지만(24:12), 하나님의 약속이 깃들여 있는 구원의 언약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십계명을 담은 법궤를 언약궤’(31:26, 삼상4:5, 9:4, 11:19), 그것을 기록한 책을 언약서’(24:7) 혹은 언약책’(왕하23:21, 대하34:30)이라고 불렀습니다.

시내산 언약에서는 모세는 언약서(20:22-23-33)를 백성 앞에서 낭독하고, 백성은 여호와의 모든 말씀을 우리가 준행하리이다라고 서원하였습니다(24:7). 이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통치를 받고 진심으로 하나님을 섬기면 하나님이 그들의 보호자가 되신다는 약속입니다. 언약이 체결된 후에 모세는 피를 취하여 백성에게 뿌리며 이는 여호와께서 이 모든 말씀에 대하여 너희와 세우신 언약의 피니라라고 선포했습니다(24:8).

출애굽 초기에 광야 제 1세대와 맺었던 시내산 언약은 출애굽 40111일 광야 제 2세대에게 재 확증되었는데, 이것은 시내산 언약과 구별하여 모압 평지에서의 언약이라고 부릅니다(29:1-29).

그런데 모세의 뒤를 이은 여호수아와 그 세대의 사람들이 모두 죽은 후에(2:6-10), 이스라엘 백성은 이방의 가증한 죄악을 행하면서 하나님을 불신하여 그 언약을 송두리째 잊어버리고 말았습니다. 이렇듯 시내산 언약을 지키지 않은 결과(78:10-11, 37), 그들은 열방을 통해 많은 징계를 당하였습니다. 그러나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께서는 진노를 여러 번 돌이키사 자기 백성을 포기하지 않으시고 끝까지 붙잡아 주셨고(78:38), 마침내 다윗 언약을 세우셨습니다(78:70-72).

 

5. 다윗 언약

The Davidic Covenant

 

이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입성한 후 사사 시대와 사울 왕 시대를 지나 하나님이 다윗 왕과 맺으신 것입니다(삼하7:12-16, 대상17:10-14). 다윗이 성전을 지으려는 소원을 가지고 있을 때 나단 선지자를 통해 그에 대한 응답으로 주신 언약입니다(삼하7:3-4).

다윗 언약의 핵심은 다윗의 몸에서 날 자식이 성전을 건축할 것이며 하나님이 그 왕위를 영원히 견고하게 해 주시겠다는 것입니다(삼하7:12-13). 이것은 다윗의 아들 솔로몬에 대한 약속이면서 나아가 다윗 왕가를 통하여 만왕의 왕 메시아가 오셔서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실 것에 대한 약속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다윗과 맺으신 언약은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맹세(盟誓)로 하신 언약입니다.

맹세(oath)는 일반적으로 어떤 목표나 약속을 반드시 이룰 것을 굳게 다짐하는 것을 의미하며, 히브리어로는 샤바, 7을 뜻하는 쉐바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따라서 맹세란 일곱 번 반복하여 약속한다라는 의미를 갖는 말로, 당사자 간에 반드시 지켜야 하는 약속을 가리킵니다. 시편 89:3-4에서 주께서 이르시되 나는 내가 택한 자와 언약을 맺으며 내 종 다윗에게 맹세하기를 ... ”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계속해서 한 번 맹세하였은즉”(89:35), “다윗에게 맹세하신”(89:49)이라는 표현을 통해 다윗에게 맹세로 말씀하셨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맹세는 약속보다 훨씬 강한 다짐입니다. 사람이 맹세를 해도 지켜야 하는데, 하나님이 맹세로 어떤 일을 확증하셨다면 이것은 돌이킬 수 없는 확고부동한 결정 사항입니다(110:4). 불완전한 존재인 인간이 결정한 일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고 번복될 수 있지만, 완전한 주권자이신 하나님이 맹세로 정하신 일은 결코 바뀌는 법이 없습니다.

둘째, 성실(誠實)로 하신 언약입니다.

성실은 정성스럽고 참되다라는 뜻입니다. 시편 89:49에서 주의 성실하심으로 다윗에게 맹세하셨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시편 132:11 “여호와께서 다윗에게 성실히 맹세하셨으니 변하지 아니하실지라

여기 성실은 히브리어 에메트, ‘충실하다, 진실하다라는 뜻의 아만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하나님은 거짓말을 못하시는 진실하신 분입니다(6:18). 그러므로 하나님이 성실로 맺으신 언약은 반드시 이루어지는 약속인 것입니다. 아무도 그 언약을 피할 수 없습니다(33:20-21). 이사야 55:3에서는 다윗과 세운 언약을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윗 언약이 반드시 성취된다는 확정적인 선포이며, 사단의 그 어떤 강한 훼방도 그 언약의 성취를 가로막지는 못한다는 선언입니다.

 

6. 예레미야의 새 언약

The New Covenant in Jeremiah

 

이 언약은 예루살렘이 함락(주전 586)되기 직전 가장 암울한 시대에 살고 있던 예레미야 선지자에게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것입니다(31:31-34).

새 언약을 주심은 옛 언약 자체가 불완전하다는 뜻이 아니라, 사람의 불완전함을 긍휼하게 여기시며 온전한 구원을 베풀어 주시려는 하나님의 은혜로우심을 반영한 것입니다. 하나님이 시대마다 끊임없이 은혜를 베풀고 언약을 새롭게 갱신하셨음에도, 이스라엘은 헤아릴 수 없는 패역과 불순종으로 더 큰 범죄를 일삼고 마침내 파멸의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새 언약의 목적은 바벨론에 포로가 되어 가더라도 그곳에서 구원의 소망을 잃지 않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51:50-53). 이스라엘 백성이 새 언약을 굳게 신뢰하고 소중히 간직하면서 포로 기간을 회개의 기회로 삼고 끝까지 견더야 할 것을 권고하시면서, 반드시 하나님이 그들을 구원하시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이신 것입니다.

그 내용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하나님의 말씀을 자기 백성의 마음에 기록하시겠다는 것입니다.

예레미야 31:33에서 내가 나의 법을 그들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옛 언약이 돌비에 기록되었다면 새 언약은 심비(心碑)에 기록되는 것으로, 우리가 복음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편지가 되는 것입니다(고후3:1-3). 그 결과,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라는 말씀이 이루어질 것입니다(31:33, 6:7, 19:4-6, 36:25-28).

둘째,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 다 하나님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예레미야 31:34에서는 그들이 다시는 각기 이웃과 형제를 가르쳐 이르기를 너는 여호와를 알라 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 다 나를 알기 때문이라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8:8-13). 이것은 사람의 가르침을 받지 않아도 장차 성령의 역사를 통해서 하나님을 알도록 역사하신다는 것입니다(14:26, 15:26, 16:13).

예레미야가 예언한 새 언약은 옛 언약을 이루실 능력을 지니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심으로 이루어집니다(8:2-4). 그래서 히브리서 12:24에서는 새 언약의 중보이신 예수라고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9:15). 예수님도 성만찬 때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22:20)라고 말씀하셨습니다(고전11:25).

성경의 모든 언약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간 구원의 유일하고 절대적인 근거가 된 십자가 구속 수난을 마치시고 이제 새로이 인간 구원의 최종 실현이 될 영원한 천국의 도래를 중심으로 세우신 새 언약으로 귀결됩니다(26:27-29, 14:24-25, 22:20, 8:10-13, 13:20). 그러므로 근본적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아브라함의 영적 후손 된 모든 성도들은(4:11, 16, 3:7-9, 29) 언약 관계가 있는 자들이 됩니다.

모든 언약의 핵심 내용은 하나님께서 언약을 맺은 그 사람들을 자기 백성으로 삼아 그들의 하나님이 되시겠다는 것입니다(17:7, 6:6-7, 19:4-6, 11:45, 26:11-12, 4:20, 29:13, 왕하11:17, 대하23:16, 고후6:16). 그러므로 헬라인이나 유대인이나 할례당이나 무할례당이나 야인(野人)이나 스구디아인(야만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차별 없이, 새 언약의 중보이신 예수 그리스도(8:6, 9:15)안에서 믿음으로 구원 받아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되는 것입니다(10:11-13, 3:11).

 

 
한 길성
댓글 0
댓글 달기 Textarea 사용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이름 암호

하나님의 구속 경륜

공사성무교회 한길성 장로님이 엮으신 책,
‘하나님의 구속 경륜을 이어가는 경건한 사람들’의 책에서 발췌한 자료를 여기에 싣습니다.
공군교회 성도들의 신앙성숙을 위해 자료를 제공해 주신 장로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존귀한 사람 창조(생명이 있는 산사람, 에덴동산)) 한 길성 2024.06.22 22
33 존귀한 사람 창조(하나님의 형상과 하나님 모양대로 창조) 한 길성 2024.06.08 23
32 존귀한 사람 창조(사람의 창조는 모든 창조 사역의 중심) 한 길성 2024.05.18 18
31 제 6장 구속사와 하나님의 언약 (창조, 타락, 구원) 한 길성 2024.04.27 16
30 III 하나님의 섭리와 영원한 인자(2) 한 길성 2024.04.20 16
29 Ⅲ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영원한 인자(仁慈) 한 길성 2024.04.06 20
28 십자가의 고난과 부활(화요일: 투쟁의 날, 혹은 변론의 날) 한 길성 2024.03.23 21
27 십자가의 고난과 부활(월요일: 권위의 날) 한 길성 2024.03.17 18
26 십자가의 고난과 부활(종려주일: 개선일) 한 길성 2024.03.16 15
25 십자가상의 불멸의 7곱 말씀(架上七言)(성금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까지) 한 길성 2024.03.02 22
24 제 5장 영원한 언약과 하나님의 섭리 ( THE ETERNAL COVENANT AND THE PROVIDENCE OF GOD)장(계속) 한 길성 2024.02.03 57
23 제 5장 영원한 언약과 하나님의 섭리 ( THE ETERNAL COVENANT AND THE PROVIDENCE OF GOD) 한 길성 2024.01.20 16
제 4장 구속사와 영원한 언약의 성취자 예수 그리스도(((계속))) 한 길성 2024.01.06 18
21 [[[사랑하는 공군교회 성도님, 메리 크리스마스]]] (오직 하나님 말씀으로 돌아가자) 한 길성 2023.12.23 19
20 제 3장 구속사적 경륜과 언약 ( The Administration of Redemptive History And The Covenant)장<<<계속>>> 한 길성 2023.12.02 18
19 제 3장 구속사적 경륜과 언약 ( The Administration of Redemptive History And The Covenant)장<<<계속>>> 한 길성 2023.11.25 28
18 제 3장 구속사적 경륜과 언약 ( The Administration of Redemptive History And The Covenant)<<<계속>>> 한 길성 2023.11.18 16
17 제 3장 구속사적 경륜과 언약 ( The Administration of Redemptive History And The Covenant)장<<<계속>>> 한 길성 2023.11.11 21
16 제 3장 구속사적 경륜과 언약 ( The Administration of Redemptive History And The Covenant)장<<<계속>>> 한 길성 2023.11.04 17
15 제 3장 구속사적 경륜과 언약 ( The Administration of Redemptive History And The Covenant) 한 길성 2023.10.28 4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