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하나님의 구속 경륜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3대: 셀라)

한 길성2025.07.12 02:1407.12조회 수 3댓글 0

AA

 

 13대: 셀라(Shelah)

 

: 보냄을 받은 자, 햇가지, 확장/send away or sent, sprout, outstretching

요약: 셀라는 아담 이후 1693년에 출생하였습니다. 30세에 에벨을 낳고 403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433(아담 이후 2126)에 죽었습니다(11:14-15, 대상1:24-25). 노아와는 313년 동시대에 살았습니다. 셀라는 아브라함보다 3년 더 장수하였습니다. 셀라는 이삭 78세까지, 야곱 18세까지 동시대에 살았습니다. 누가복음의 족보에 살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3:35).

 

 셀라의 어원은 히브리어 샬라흐에서 유래되었으며, ‘(멀리 밖으로)내던지다. 보내다. 뻗치다라는 뜻입니다.

 아르박삿이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셀라라고 지은 것은 경건한 자손들이 전 세계 속에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고 흩어져 신앙의 세력이 확장되기를 소원했기 때문인 것입니다. 이는 셀라 시대에 이르러 셈족이 여러 지역으로 퍼져 나갔음을 반영합니다.

 셀라의 아버지 아르박삿의 시대가 하나님이 일하실 수 있는 어느 한 영역, 곧 중심 거점을 구별하고 마련한 단계였다면, 셀라 시대는 하나님의 나라와 복음의 영역이 점점 더 멀리, 온 땅 가득히 확장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홍수 직후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편만하여 그 중에서 번성하라”(9:1)고 하신 하나님의 명령과 축복의 성취인 셈입니다. 마치 갈대아 우르에서 아브라함 한 사람의 선택에서 시작한 선민 이스라엘이, 출애굽 할 때에는 생육하고 불어나 번성하고 매우 강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1:7)고 하신 말씀과 같은 것입니다.

 

1.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첫 영역이었지만, 예수님께서 부활 승천하시면서 지상 명령을 내리신 후에, 하나님의 영역은 이방으로 확장되었습니다(28:18-20).

  Israel was God’s first boundry, but this was expanded to encompass the Gentiles, furthering the boundaries of the gospel in accordance with Jesus’ command as He ascended into heaven(Matt 28:18-20).

 

 ‘셀라의 또 다른 어원은 히브리어로 쉘라흐인데, ‘무기라는 뜻 외에도 어린가지, , 햇가지입니다. 봄에 나온 햇가지는 시간이 지나면 어느새 짙푸른 잎으로 큰 숲을 이루듯이, 복음이 그렇게 빠른 속도로 확장될 소원을 담은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십자가와 부활을 기점으로, 유대 땅 안에서 유대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사역이 이방으로 확장되는 크나큰 전환기를 맞습니다(28:18-20, 1:8, 13:46-47).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방)까지도 한 목자에게로 인도하실 때가 된 것입니다(10:16). 사도 바울을 택하신 이유도 이방 사람들을 담는 그릇으로 쓰기 위해서였습니다(9:15). 이렇게 예루살렘을 거점으로 시작한 복음 운동은 가까운 이웃이었던 사마리아로, 또한 아주 멀리 땅끝까지 급속도로 퍼져 나갔습니다(1:8).

 

2. 셈의 아들 아르박삿과 그의 아들 셀라로 이어지는 과정은 마치 예수님의 부활 승천 이후 왕성했던 초대교회 말씀 운동을 연상시킵니다.

  The progression of the work from Arpachshad to Shelah corresponds to the growing gospel movement during the early church era after Jesus’ resurrection and ascension.

 

 우리는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에 120문도에게 내린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으로 복음의 영역이 확보된 것을 새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작은 팔레스타인의 땅, 또 마가의 다락방에 모인 120문도라는 적은 무리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은 불신의 땅에서 복음의 영역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이들이 보내심을 받아 복음을 증거함으로 말미암아 왕성한 말씀의 확장과 부흥의 역사가 일어났습니다.(2:41, 47, 4:4, 5:14, 28, 6:7, 9:31, 11:21, 12:24, 19:20). 복음이 온천하에서 열매를 맺어 자라게 되었습니다(1:5-6).

 초대교회 때 말씀이 왕성하여 세력을 더하는 놀라운 부흥 운동은 말세에 나타날 말씀 운동의 역사를 예표합니다. 말씀 운동, 복음을 확장시키는 사명은 오늘날 우리에게 맡겨진 셈입니다(24:14). 우리는 이 시대에 말씀을 맡은 자들로서(3:2),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온 땅에 충만하기까지 가정에서는 내 자녀에게 가르치고, 밖으로는 이웃에게 부지런히 전파해야 할 사명이 있습니다. 그리하여 온 세계가 하나님을 인정하고, 작은 자로부터 큰 자에 이르기까지 모두 하나님을 아는 것이 가득하게 되는 날이 속히 임하기를 소원해 봅니다(11:9, 31:31-34, 2:14, 8:10-11, 10:16-18).

 

 <‘가이난을 어떻게 볼 것인가?>

 

 창세기 10:24 “아르박삿은 셀라를 셀라는 에벨을 낳았으며

 창세기 11:12 “아르박삿은 삼십오 세에 셀라를 낳았고

 역대상 1:18 “아르박삿은 셀라를 낳고 셀라는 에벨을 낳고

 역대상 1:24 “, 아르박삿, 셀라

 즉, 노아10-11-아르박삿12-셀라13 (10:24, 11:12, 대상1:18, 24)

 

누가복음 3:35-36 “그 위는 스룩이요 그 위는 르우요 그 위는 벨렉이요 그 위는 헤버요 그 위는 살라요 36그 위는 가이난이요 그 위는 아박삿이요 그 위는 셈이요 그 위는 노아요 그 위는 레멕이요

, 노아10 11 아박삿(아르박삿)12-가이난-살라(셀라)13(3:35-36)

 

 아담의 12대손 아르박삿은 35세에 셀라를 낳았습니다. 그리고 아르박삿은 아담의 13대손 셀라를 낳은 후 403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습니다(11:12-13). 이처럼 아르박삿이 셀라를 낳았다는 성구가 성경에 나오는 족보를 통틀어 볼 때, 네 군데(10:24, 11:12, 대상1:18, 24)입니다. 그 네 군데 모두 아르박삿과 셀라 사이에 가이난은 없습니다. 히브리어 원문에 가이난이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유독 누가복음에만 아르박삿(아박삿)과 셀라(살라) 사이에 가이난이 기록되고 있는데, 우리는 가이난을 어떻게 보아야 합니까?

* 누가복음 3:37가이난과 창세기 5:10게난은 동일 인물입니다.

 

1. 구약성경에서는 가이난이 빠져 있습니다.

 Cannan is missing in the Old Testament.

 

(1) 창세기 10장의 족보를 보면 노아--아르박삿-셀라-에벨-벨렉의 순서로 나오는데(10:1-25), 아르박삿이 셀라를 낳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창세기 10:24 “아르박삿은 셀라를 낳고 셀라는 에벨을 낳았으며

(2) 창세기 11:10-20의 족보에서도 마찬가지로 노아--아르박삿-셀라-에벨-르우-스룩-나홀-데라-아브라함이라고 기록되고 있습니다.

 창세기 11:12-13 “아르박삿은 삼십 오세에 셀라를 낳았고 13셀라를 낳은 후에 사백 삼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 그런데, 누가복음 3장 족보에는 가이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However, the Genealogy in the Gospel of Luke includes Cainan.

 

 누가복음 3장에 나오는 족보에는 노아--아박삿-가이난-살라-헤버-벨렉-르우-스룩-나홀-데라-아브라함의 순서로 기록되고 있습니다(3:34-26).

 그렇다면 우리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3. 아르박삿과 가이난과 셀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Arpachshad, Cainan, and Shelah

 

 구약 창세기 10:24, 11:12-13에 나오는 족보에는 분명히 가이난이 빠져 있고, 누가복은 3:36에는 가이난이 들어 있습니다. 신구약 성경은 정확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그러한 입장에서 그 이유를 찾아 보면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1) 아르박삿 이후에 장자권이 가이난에게 넘어가고 또 가이난의 장자권이 셀라에게로 넘어간 것은 확실합니다.

(2) 그렇다면 가이난과 셀라는 쌍둥이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아르박삿이 낳은 두 아들 가운데 가이난이 형이고 셀라가 동생입니다. 아르박삿은 35세에 가이난과 셀라를 같이 낳았을 것입니다.

 창세기 11:12 “아르박삿은 삼십 오세에 셀라를 낳았고...”

 그런데 창세기의 기록과 누가복음의 기록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르박삿의 장자 축복권이 장자였던 가이난에게서 차자 셀라에게로 넘어갔기 때문이라고 여겨집니다. 성경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가이난이 어떤 이유로 장자권을 상실하였기 때문입니다. 아르박삿의 장자권을 계승한 가이난이 장자권을 상실하게 되자, 당연히 장자권은 가이난에게서 그의 동생 셀라에게로 넘어가게 된 것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위경 요벨서 8장에서는 가이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아르박삿의 아들 가이난은 성장하여 도시로 나가 점성술사의 가르침을 받고, 일월성신의 징조로 점을 쳐서 죄를 범하였다...”

 우리가 외경의 기록을 다 인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가이난이라는 사람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하나님을 떠나 장자권을 상실했기 때문에 구약의 족장들의 족보에서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3) 누가복음에서는 이렇게 장자권이 이동한 순서를 따라서 셀라의 이상은 가이난이요, 가이난의 이상은 아르박삿이라고 기록한 것 같습니다.

 다만, 창세기에서는 실제적인 측면에서 중간에 장자권이 가이난에서 셀라로 넘어간 것을 생략하고, 곧바로 장자권이 아르박삿에서 셀라로 넘어간 것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입니다.

 성경에는 이같은 상황이 종종 등장하는데, 그 가운데 이삭과 리브가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에서와 야곱이 장자권을 두고 다툼하는 것에서도 나타납니다. 아버지 장자권은 당연히 장자 에서의 것이었으나 에서는 그것을 소홀히 여기고 팥죽 한 그릇에 장자의 명분을 팔아 버렸습니다(25:27-34). 결국 야곱이 이삭을 속이고 장자의 축복을 받음으로(27:25-40), 실제적으로 장자의 축복은 야곱이 차지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논리적으로 장자권이 누구에게 넘어갔는가를 중심으로, ‘아브라함-이삭-에서-야곱의 순으로 기록할 수 있지만, 마태복음 족보에서는 장자권이 누구에게 넘어갔는가를 중심으로 아브라함-이삭-야곱순으로 기록하였습니다.

 신구약 성경 속의 이 같은 하나님의 섭리를 볼 때, 누가복음 3장의 족보에 가이난이 들어 있을지라도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역대의 연대를 계산하는 것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길성
댓글 0
댓글 달기 Textarea 사용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이름 암호

하나님의 구속 경륜

공사성무교회 한길성 장로님이 엮으신 책,
‘하나님의 구속 경륜을 이어가는 경건한 사람들’의 책에서 발췌한 자료를 여기에 싣습니다.
공군교회 성도들의 신앙성숙을 위해 자료를 제공해 주신 장로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20대: 아브라함) 한 길성 2025.08.09 0
86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9대: 데라) 한 길성 2025.08.09 0
85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8대: 나홀) 한 길성 2025.08.02 3
84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7대: 스룩) 한 길성 2025.08.02 3
83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6대: 르우) 한 길성 2025.07.26 6
82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5대: 벨렉) 한 길성 2025.07.26 2
81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4대: 에벨) 한 길성 2025.07.19 3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3대: 셀라) 한 길성 2025.07.12 3
79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대 족보(총 12대: 아르박삿) 한 길성 2025.07.05 4
78 셈부터 아브라함 까지 10대(아담부터 총 20대) 족보(11대: 셈) 한 길성 2025.06.27 3
77 셈에서 아브라함까지의 10대 족보(아담부터 아브라함까지 총 20대) 한 길성 2025.06.21 10
76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10대: 노아): 계속(노아가 방주를 지은 기간의 정확한 해석) 한 길성 2025.06.14 22
75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10대: 노아) 한 길성 2025.05.31 28
74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9대: 라멕) 한 길성 2025.05.10 7
73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8대: 므두셀라) 한 길성 2025.04.26 6
72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7대: 에녹) 한 길성 2025.04.19 8
71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6대: 야렛) 한 길성 2025.04.12 8
70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4대: 게난, 5대: 마할랄렐 ) 한 길성 2025.04.05 9
69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3대: 에노스) 한 길성 2025.03.29 7
68 아담부터 노아까지 10대 족보(2대: 셋) 한 길성 2025.03.22 13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