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산기지교회

나누고 싶은 글 22-11.29 새벽말씀

권화영2022.11.29 08:1411.29조회 수 9댓글 0

AA

샬롬~♡

오늘 말씀은(전도서1:12-18) 솔로몬 왕이 '왜' 전도서를 연구하고, 기록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묵상하고 하나님 주시는 은혜를 깨닫기를 원합니다.

 

1.모든 지혜와 지식, 연구와 공부의 결론으로써 전도서를 쓰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12-13절) 하나님은 '왜' 사람이 수고로움에 얽매이고, 세상과 연결시키어 살아가게 하시며, 주어진 목표와 삶의 의미를 찾으면서 생존을 위해 애쓰게 하시는지 솔로몬이 지혜와 심혈을 기울여서 공부했다고 기록합니다.

->(14절) 이세상 모든 일이 헛되어 바람을 잡으려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솔로몬 왕이 모든 지혜로 연구하고 공부해보니 사람이 해 아래에서 수고하는 모든 일, 이땅에서 살아가는 본질이 다 헛된 것이며 바람을 잡는 것과 같다고 기록합니다.

->(15절) 사람이 행하는 본질은 구부러진 것도 펼 수 없고, 모자란 것도 셀 수 없다고 말합니다.

->사람이 구부러진 것을 펴기 위해 애쓰지만 펼 수 없으며, 모자란 것을 채우려고 노력해도 채워지지 않으며, 얼마가 부족한지 계산도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리 삶의 본질은 안되는 문제를 붙잡고 시름하며, 투쟁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오늘도 자신에게 주어진 질문, 숙명, 삶의 이유를 붙잡고 시름합니다.

->그러나 그 투쟁으로 어떤것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흥하는 것이 있으면 쇠하는 것이 있습니다. 아무리 흥할지라도 한 때일 뿐입니다.

->솔로몬은 이와 같은 것을 깨닫고 통달하여 전도서를 쓰게 되었습니다.

->우리 삶이란 그저 헛된 것을 붙잡는 것임을 깨닫고 하나님 없이는 아무것도 아님을 아는 바램을 갖고 전도서를 기록했습니다.

->(17절) 무엇이 슬기롭고 똑똑한 것인지, 무엇이 얼빠지고 어리석은 것인지 구별하려고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지혜, 지식, 경험을 쌓고 쌓아서 고민, 연구, 관찰, 집중하는 것조차도 헛된 것임을 알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바람을 잡으려는 것과 같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무엇에 기뻐하고 안타까워하고 있습니까?

->우리는 무엇에 감격하고 실망하고 있습니까?

->구부러진 것을 펼 수 없으니, 당장에 수고하고 애써서 조금이라도 폈거나 모자란 것을 채웠다는 작은 성취에 감격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그러나 결과적으로 구부러진 것은 펼 수 없고 모자란 것은 채워지지 않습니다.

->바람을 잡는 것 같은 것이 우리 삶입니다.

->우리가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으니 지혜와 지식을 갖고 알아보고 노력하지만 의미없는 투쟁의 삶은 변화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무엇을 하기 전, 계획하기 전에 하나님을 바라보고 의지해야 합니다.

->세상 모든 일이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라면 남는 것은 창조주 하나님과의 관계만 남습니다.

->이 세상 모든 헛된 일을 뒤로하고 가장 의미있고 복된 일, 가치있고 헛되지 않은 일은 예배입니다.

->worth(가치) -> worship(예배)

->예배는 우리의 원형되시는 하나님을 만나고, 바라보며, 집중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예배하는 것이 가장 가치있는 일입니다.

->오늘 본문에 명시적으로 기록하고 있지는 않으나 하나님을 바라보는 것, 가장 가치있는 예배를 전도서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입니다.

*오늘도 무엇을 시작하기 전, 계획하기 전에 하나님을 바라보면서 세상 모든 일이 바람을 잡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유일하게 의미있는 일이 있으니, 하나님을 의지하고 바라보는 참된 예배를 드리는 우리 되기를 축복합니다.

 

2.지혜가 많으면 번뇌가 많습니다.

->(18절) 사람이 지혜를 찾고, 더 근본적이고 가치있는 지혜, 이 세상을 통달하기 위해 공부, 연구, 관찰하며 지혜를 찾아 애쓰지만 고민만 많아졌다고 기록합니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지식을 쌓을수록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근심, 걱정만 더 생겼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즉,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질문이 더 많아졌다는 의미입니다.

->우리 삶, 우리 내면, 우리 상황은 우주와 같습니다.

->이것만 성취되면, 이것만 손에 넣으면, 이 목표만 도달하면 불행 끝 행복 시작일 것이라고 생각하나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 삶의 본질은 산너머 산입니다.

->답을 구하는 노력을 하면 할수록 질문만 많아지고 근심만 커집니다.

->하나님만이 진리이시므로 하나님만 바라보는 것이 답이 됩니다.

->솔로몬은 이것을 말하기 위해 전도서를 쓰고 있습니다.

 

*솔로몬이 자기의 지혜를 모두 사용해서 연구, 관찰, 공부하여 지혜를 얻은 결론은 '바람을 잡으려는 것과 같다' 입니다.

*질문이 해결되면 될수록 답을 얻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질문만 커져갑니다.

*우리에게 가장 가치 있는 일은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입니다.

*오늘 주님만 의지하며 예배하고 나아가는 우리는 답을 구하려 하기보다 답이 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우리 되기를 축복합니다.

*이세상의 모든 일이 바람을 잡는 것과 같다면 바람을 잡기보다 그 너머, 해 너머에 계시는 주님을 바라보는 우리 되기를 축복합니다.

권화영
댓글 0
댓글 달기 Textarea 사용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이름 암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22-12.5 새벽말씀 권화영 2022.12.05 11
120 22-12.2 새벽말씀 권화영 2022.12.02 7
119 22-12.1 새벽말씀 권화영 2022.12.02 8
118 22-11.30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30 7
22-11.29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29 9
116 22-11.28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28 11
115 22-11.25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25 12
114 22-11.24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24 10
113 22-11.23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23 10
112 22-11.22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22 9
111 22-11.21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21 10
110 22-11.18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18 18
109 22-11.17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17 24
108 22-11.16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16 55
107 22-11.15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15 14
106 22-11.14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14 14
105 22-11.11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11 18
104 22-11.10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10 29
103 22-11.9 권화영 2022.11.09 24
102 22-11.8 새벽말씀 권화영 2022.11.08 12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2 Next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